시는 지난 8월 1주(8월3일-8월4일) 부산지역 축사에서 1일 저녁 채집된 전체 모기(6,232마리)중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 빨간집 모기′가 전체 모기 밀도의 50%(3,195마리, 51.3%)를 넘어섬에 따라 시민들에게 일본뇌염에 각별히 주의할 것을 당부하는 한편 구,군에 모기 방제활동을 강화하도록 지시하였다.
또한,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의복이나 야외활동에 주의를 기울이고, 특히 어린이들이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과 주변 환경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매개모기(작은빨간집모기)에 물렸을 경우 혈액내로 전파되는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의해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급성 전염병으로,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후유증의 발생이 높은 질병이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진 일본뇌염 매개모기에 물린 사람의 95%는 무증상이며 일부에서 열을 동반하기도 한다.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하게 되는데, 초기에는 고열,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이, 아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 사망에 이를 수 있고, 회복기에는 언어장애, 판단능력 저하, 사지운동 저하 등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