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비회원사에서 본 한국기자연대에 제보한 지난해 인천시가 발주한 광고, 공고 현황에 대해 정보공개 청구하여 답신 받은 인천시 결정통지서를 살펴보면 공고가 대부분 회원사에 집중적으로 지원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회원사와 인천시 관련부서와의 담합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인천시가 발주한 지난해 광고현황을 보면 회원사인 경기일보 8개, 경인일보 11개, 기호일보 10개, 인천신문 6개, 중부일보 9개, 수도권일보 8개, 전국매일 7개, 현대일보 8개, 경기신문 9개, 비회원사인 경기매일 1개, 경도신문 4개, 경인매일 5개, 시대일보 5개, 시민일보 6개, 신아일보 2개, 아시아일보 3개, 우리일보 5개로 회원사가 비회원사에 비해 광고수주에 상당한 혜택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일부 주간신문 및 특수신문, 인터넷신문에는 경인플러스 1개, 남동신문 4개, 노컷뉴스 1개, 미디어인천 1개, 부평신문 3개, 아이투데이 1개, 연수저널 4개, 월요신문 1개, 인천뉴스 4개, 인천저널 1개, 장애인생활신문 3개, 재래시장일보 1개, 종합경찰신문 1개, 지방자치사진연감 1개, 토요신문 1개, 포토경기 1개, 항도경인신문 3개 등 그 외 인천일보 10개 등 지난해 인천시의 광고 발주금액이 1개사 당 1백여만원으로 계산하더라도 1억4천여만원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공고현황을 살펴보면 경기일보 10개, 경기신문 4개, 경인일보 13개, 기호일보 12개, 수도권일보 5개, 전국매일 5개, 중부일보 13개, 현대일보 7개 등 그 외 인천일보 12개 등 회원사에게만 집중적으로 지원된 것으로 드러나 회원사와 관련부서와의 담합 의혹과 함께, 회원사가 비회원사들에 대해 출입을 통제하는 목적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어 시민의 혈세가 회원사들의 먹이사슬로 이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인천시 광고발주금액은 1백만원에서 2백여만원으로 이루워지고 있고, 공고의 경우 50만원에서 2백여만원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인천시에서 발주하고 있는 광고, 공고의 경우 한 해 약 3억여원에 이르는 예산이 집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특정 신문사들 간의 광고와 공고를 수주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게다가 인천시, 각 구청에서 발주하고 있는 상당금액의 인쇄물이 일부 특정 신문사들이 수의계약 형태로 독점하고 있다는 제보와 의혹이 잇따르고 있어 관련당국의 강력한 실사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관련 본 한국기자연대는 인천시청 공보관 L모씨와 기자실 출입과 관련하여 인터뷰를 요청, 시민의 혈세로 운영되고 있는 회원사의 기자실 독점권 행사에 대해 국민의 알권리 위해 개방을 위한 강제 집행 할 의사에 대한 질문에
공보관 L모씨는 "잘 알고 있으나 기자들 간에 해결이 안 되고 있으며 전국적인 사항인데다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냐"면서 "중앙지, 지방지의 출입의 문제점은 기자들과 가까운 분들이 더욱 잘 알고 있는 점으로 본인은 지켜 볼 수 밖에 없고 개인이 어려운 점은 기자들 끼리 풀어야 할 점이라"며 뒷발.
이에 본 한국기자연대는 개방형 브리핑 룸 등 비회원사들이 기사를 송고하기 위한 램선 부족 등 송고 실 운영과 광고 등에 대한 질문에
공보관 L씨는 " 현재 중앙기자실, 지방기자실, 브리핑 룸을 리모델링하여 많은 기자들이 자유롭게 쓸 수 있도록 할 계획"이며 "특정 신문사에 편중되어 있는 것은 개선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답변
이에대해 시청기자실 회원사로 가입되어 있는 O신문사 모 기자는 "회원사라고 불리는 기자들에게 광고, 공고 특혜는 한, 두해가 아니라"면서 "여기에다 인천시청과 각 구청에서 발주하고 있는 수억원, 수천만원대의 인쇄물들이 일부 특정 신문사에서 수의계약 형태로 독점하고 있어 인천관내 인쇄업자들로부터 비난을 사고 있다"며 일부 특정신문사 인쇄물 수주와 관련하여 의혹제기.
이어 "특정 신문사들의 각종 행사에 인천시와 각 구청들이 예산을 다투어 배정하고 있어 시민의 혈세가 특정 신문사들의 배를 불리고 있다"며 지적하고 나서, 실질적 자치단체 현장에서 뛰고 있는 기자들의 목소리가 예상치 않다